-
교육연구 개념
절차의 이해학교현장 사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개념과 절차 이해
-
통계 개념의
이해현장교육연구를 위한통계적 개념 학습
-
통계 분석 도구
활용법 습득데이터 분석을 위한R통계 패키지 사용법 습득
- 교육 이론 수립
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
교육현장을 이해하고
관련 이론을 수집 - 통계 개념의 이해
교육현장연구를
수행하기 위한
기초 통계에 대한 이해 - 통계 분석 도구 학습
교육현장연구를 위한
통계 분석 도구 사용법
학습
4주 (복습기간 : 학습종료일로부터 2달)
110,000원
① 연수원 홈페이지의 ‘원격직무 > 수강신청’ 에서 수강신청
② 연수비 납입 ( 농협 079-17-014247 : 교육행정연수원장 )
③ 수강시작일 이후 ‘원격직무연수 > 내 강좌 목록’ 에서 강의실 입장
- 연수 공문 확인
- 연수 수강 신청
- 연수비 납입
- 연수 수강
·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교육 현장을 이해하고 관련 이론을 수립하는데 관심이 있는 교원
· 현재 혹은 항후 대학원에 진학하여 석,박사 학위논문 작성을 계획하고 있는 교원
· 현장교육연구 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하고자 하는 교원
· 교육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통계 개념 및 도구사용법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교원
· 교육분야의 경험과학적 연구논문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싶은 교원
-
- 1 교육분야의 양적연구 읽기1(비실험연구)
- 2 교육분야의 양적연구 읽기2(실험연구)
- 3 교육연구의 설계
- 4 무선할당과 준실험설계
- 5 모집단과 표본
- 6 회귀분석의 시작
- 7 단순회귀모형: 절편과 기울기
- 8 R실습: R시작하기
- 9 R실습: 단순회귀분석
- 10 단순회귀모형: 결정계수
- 11 중다회귀모형
- 12 회귀모형의 비교와 변수의 선택
- 13 R실습: 중다회귀분석
- 14 R실습: 모형 비교
- 15 회귀분석에서 범주변수 처리
- 16 R실습: 회귀분석에서 범주변수 처리
- 17 회귀분석의 가정
- 18 R실습: 회귀분석의 가정
- 19 상호작용 효과 분석
- 20 R실습: 상호작용 효과 분석
- 21 매개효과 분석
- 22 R실습: 매개효과 분석
- 23 로지스틱 회귀분석
- 24 R실습: 로지스틱 회귀분석
- 25 사전점수를 활용하는 분석
- 26 R실습: 사전점수를 활용하는 분석
- 27 통계적 검증력 분석
온라인 학습 진도율은 평가 점수에 포함되지 않으며 총점 60점 이상, 진도율 90% 이상 시 이수
- 온라인 과제 40% 평가튜터
- 1차 과제 (20%) 연구계획서 초안 작성
- 2차 과제 (20%) 연구 계획서 작성
- 온라인 평가 40% 평가문제은행 출제 전산처리
- 필기평가 객관식 20문항
- 게시판 활동 20% 평가전산처리
- 의견 나누기(10%) 1회 5점 2회 이상 만점
- 자료실 게시판(10%) 1회 5점 2회 이상 만점
- 김용남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
-
- 2018-09 ~ 2019-07: Center for Demography and Ecology, Research Associate
- 2019-08 ~ 2020-08: 미국 콜롬비아 대학교, 조교수
- 2020-09 ~ : 서울대학교 부교수
-